코딩/java
[java] #2. 변수와 데이터타입
lazy_nyoung
2023. 1. 6. 08:59
안녕하세요.
오늘은 변수와 데이터타입에 대하여 정리해보겠습니다.
1. 변수
Variable(변수) -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공간
변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변수를 선언을 먼저 해주어야합니다.
[데이터타입] [원하는변수이름];
변수에 값을 저장 할 때는 대입연산자(=) 를 사용합니다. 우측의 값을 좌측 변수에 저장한다는 의미라고 보시면 됩니다.
[변수이름] = 값;
선언을 하면서 초기값 설정을 같이도 할 수 있습니다.
[데이터타입] [변수이름] = 값;
변수 이름에는 규칙이 있는데요.
- 첫 번째 글자는 문자이거나, '$' 나 '_' 이어야하고 숫자로 시작할 수 없습니다.
- 영어 대소문자가 구분됩니다.
- 첫 문자는 영어 소문자로 시작하되, 다른 단어가 붙을 경우 첫 문자를 대문자로 합니다. (낙타표기법)
- 문자 수/길이의 제한은 없습니다.
- 자바 예약어(if, void, return bollean, byte 등등) 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.
변수가 어떤 값을 저장하고 있는지 쉽게 알 수 있도록 변수 이름을 지어주는 것이 좋습니다.
2. 데이터 타입
모든 변수에는 타입(형) 이 있으며, 타입에 따라 저장할 수 있는 값의 종류와 범위가 달라집니다.
변수를 선언할 때 주어진 타입은 변수를 사용하는 도중에 변경할 수 없으므로 선언할 때 타입을 잘 정해주어야 합니다.
타입 | 데이터타입 | 크기 |
정수 | byte | 1byte |
char | 2byte | |
short | 2byte | |
int | 4byte | |
long | 8byte | |
실수 | float | 4byte |
double | 8byte | |
논리 | boolean | 1byte |
자바에서는 기본적으로 정수 연산은 int 타입으로 수행하므로,
저장하려는 값이 정수 라면, int 타입을 변수에 저장하는 것이 좋습니다.